우울증 불안장애에 프로바이오틱스를? 자낙스정, 렉사프로정, 리보트릴정 등 복용자를 위한 보조요법?

신경 정신과를 찾는 방법 중에는 우울증 때문에 자낫크스 자물쇠, 렉사프로 자물쇠, 리보 트릴 자물쇠 등 다양한 신경 정신과 약물을 복용하는 것이 많습니다.이분들부터 우울하고 불안해서 잠이 안 온 증상에다 복용 중인 약물의 부작용, 언제까지 마시면 좋을지 모르는 약물의 의존성, 금단 증상을 걱정하는 질문을 자주 듣습니다.항우울제는 보통 적어도 2~4주 이상 지나서 치료 효과가 나타납니다. 신경절 신경원의 모노아민 수용체의 민감도와 양이 변해야 하는 것으로 최소 6개월~1년 이상 약물의 도움을 받아야 합니다.이렇게 신경 정신과적인 문제로 괴로워하는 분을 위해서, 증생제가 도움이 된다고 합니다. 이에 대해서 알아봤습니다.

https://blog.naver.com/euneun5/222976504378

항우울제의 종류, 주의사항, 부작용을 피해서 항우울제를 선택하는 요령 항우울제에는 어떤 약이 있나요? 프로작, 팔록세틴, 디팍신, 트라조돈, 스타브론 등 수많은 우울증약…blog.naver.com

항우울제의 종류, 주의사항, 부작용을 피해서 항우울제를 선택하는 요령 항우울제에는 어떤 약이 있나요? 프로작, 팔록세틴, 디팍신, 트라조돈, 스타브론 등 수많은 우울증약…blog.naver.com우울증이나 불안장애 등 정신질환뿐만 아니라 인지기능 저하나 치매까지 영역을 넓히고 있는 프로바이오틱스를 특히 사이코바이오틱스라고 합니다. (아일랜드 코크(Cork)대학 디난(Dinan) 교수와 크라이안(Cryan) 교수, 2013) 사이코바이오틱스(psychobiotics) 역할을 하는 프로바이오틱스는 특히 뇌-장축에 작용하는 감마-아미노낙산(GABA) 및 세로토닌과 같은 신경활성물질을 생산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감마-아미노낙산(가바 GABA) 가바는 뇌의 산소 공급량을 증가시키고 뇌세포의 대사 기능을 촉진시키며 신경을 안정시키고 불안을 해소하며 혈압을 낮춥니다.실제로 동물실험에서 프로바이오틱스를 먹인 쥐의 항우울 효과는 시타로플럼(SSRI)을 먹인 쥐에서 관찰된 결과와 비슷합니다. GABA 수치도 높였습니다. 이들 가바, 세로토닌 등 신경활성물질을 통해서 미주신경척수신경내분비계에 자극을 전달할 수 있습니다.* 자낙스정, 리보트릴정 등 벤조디아제핀 약물이 중추신경계에서 감마-아미노낙산(가바GABA)의 기능을 강화하여 항불안 작용하는 원리가 궁금하시면 아래 포스팅을 참조하시기 바랍니다.https://blog.naver.com/euneun5/222768296944불안장애, 불면치료 : 벤조디아제핀계 약제(자낙스, 디아제팜, 리보트릴, 아티반, 졸민, 루나팜 등) 불안장애, 불면치료에 사용되는 벤조디아제핀계 약제(자낙스, 디아제팜, 리보트릴, 아티반, 졸민, 루나팜 등… blog.naver.com불안장애, 불면치료 : 벤조디아제핀계 약제(자낙스, 디아제팜, 리보트릴, 아티반, 졸민, 루나팜 등) 불안장애, 불면치료에 사용되는 벤조디아제핀계 약제(자낙스, 디아제팜, 리보트릴, 아티반, 졸민, 루나팜 등… blog.naver.com* 세로토닌 농도를 높여 항불안, 항우울제로 작용하는 시타로플럼, 렉사프로 등 SSRI에 대해 궁금한 점이 있으시면 아래 포스팅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https://blog.naver.com/euneun5/222766219117SSRIs 효능과 부작용 : 팔록세틴(셀로자트, 팔록스) 에스시타로플럼(렉사프로) 플루옥세틴(프로작, 플루옥세틴) 이전 포스팅 SNRI에 이어 SSRIs의 효능과 부작용에 대해 알아봅니다. 이 중에서 저희 병원에서 많이… blog.naver.comSSRIs 효능과 부작용 : 팔록세틴(셀로자트, 팔록스) 에스시타로플럼(렉사프로) 플루옥세틴(프로작, 플루옥세틴) 이전 포스팅 SNRI에 이어 SSRIs의 효능과 부작용에 대해 알아봅니다. 이 중에서 저희 병원에서 많이… blog.naver.com무균 환경에서 자란 쥐(무균 쥐)는 대조군에 비해 스트레스에 대한 역치가 낮습니다. 이를 통해 마이크로바이옴이 시상하부-뇌하수체-부신(HPA) 축을 하향 조절하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무균 환경에서 자란 쥐(무균 쥐)는 대조군에 비해 스트레스에 대한 역치가 낮습니다. 이를 통해 마이크로바이옴이 시상하부-뇌하수체-부신(HPA) 축을 하향 조절하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여러 연구에서 장에 존재하는 미생물이 멀리 떨어진 뇌의 기능에 영향을 미친다는 다양한 메커니즘이 밝혀졌습니다.▲ 미주 신경 자극을 통한 간접적인 영향=미생물이 직접 세로토닌과 도파민 같은 신경 전달 물질을 생산하고 장에 말단 수용체를 늘리고 있는 미주 신경을 자극함으로써 뇌 기능에 영향을 줄 수 있습니다.행복 호르몬으로 알려진 세로토닌이 위장관에 95%이상 존재하므로 더욱 장내 미생물이 행복해야 인간이 행복하다는 얘기도 있습니다.그러나 실제 위장의 세로토닌은 장신 경계에서 주로 위장의 움직임에 관여하고, 뇌 기능과 관계가 없답니다. 말초로 만든 세로토닌은 분자량이 크고 뇌-혈관 장벽을 통과할 수 없으니 뇌 기능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지 못하기 때문입니다.그러나 장내 미생물이 생산한 신경 전달 물질은 미주 신경을 통해서 간접적인 영향을 주게 됩니다.뇌 기능에 직접적인 영향 미생물은 신경 전달 물질 전구체의 대사 과정에 관여하는 미생물에 의해서 전구체가 증가하는 경우, 중추 신경계에 이동해 뇌 기능에 직접 영향을 주는 일이 있습니다.또 미생물이 생산하는 대사물 중 신경 활성 작용의 물질이 뇌에 영향을 주거나 미생물이 숙주의 면역계를 자극하고 사이토카인의 발현이 바뀌어 뇌에 작용할 수도 있습니다.장내 미생물총이 뇌 기능에 영향을 미치는 메커니즘. Chudzik 등. Biomolecules 2021년장에는 무수한 신경 총이 있고 5억개의 뉴런(뇌의 1/200. 척수의 5배)으로 구성된다고 합니다.이 때문에 장신 경계는 제2의 뇌로 불리며 통상 미주 신경(부교감 신경계)및 추골 전 신경절(교감 신경계)을 통해서 중추 신경계(CNS)과 소통합니다.장신 경계는 30종류 이상의 신경 전달 물질을 분비합니다만, 아세틸콜린 도파민(50%)세로토닌(90%)가 대표적입니다.도파민 세로토닌처럼 기분에 관련하는 신경 전달 물질의 과량이 장내에 유래합니다. 그러므로 우리의 기분과 대장은 밀접한 관련이 있습니다.건강한 사람부터 주요 우울증 환자까지 가장 연구가 많은 세균 종은 락토바실루스·헤르 베티카스(Lactobacillus helveticus)와 비피도박테리움·론 껌(Bifidobacterium longum)입니다.이 두가지 균 종류를 사용한 110명의 대규모 연구에서 인간만 측정할 수 있는 벡 우울증 척도의 같은 임상 변수와 함께 전 임상 연구처럼 혈중 키뉴레닌 농도, 트립 토판 농도, 염증성 시토카인, 뇨코치조ー루 농도가 측정되고 모든 측정 변수가 사이코바이오티크스 투여로 개선되는 것을 증명했답니다.2017년에 발표된 한 연구에서, 비피 도박테리움롱감이 과민성 대장 증후군 환자의 우울증 증세를 완화시켰다는 보고가 있습니다.사이코 바이 오티크 스의 논문에서 주로 다루는 증생제의 종류 락토바실루스·헬베치카스(Lactobacillus helveticus)비피도박테리움·론 껌(Bifidobacterium longum)락토바실루스·모기 제이(Lactobacillus casei)락토바실루스·점파기 램(Lactobacillus plantarum)락토바실루스·아시도필스·불가리 스(Lactobacillus acillus acidophilus)락토바실루스·블루 가릿크 스(Lacti beckus불고기가 사리바리우스(Streptococcus salivarius)락토바실루스·램의 사스(Lactobacillus rhamnosus)락토바실루스·가세리(Lactobacillus gasseri)식약처 고시형 기능성 인정 프로바이오틱스다양한 임상연구를 통해 효과가 입증됐지만 아직 프로바이오틱스를 사이코바이오틱스 기능으로 적극 활용할 만큼 데이터가 충분하지 않은 상황입니다. 그래서 실제로 정신과적 증상이 심한 환자에게 주 치료제로 이용되기는 어려울 것입니다.하지만 프로바이오틱스는 장 건강이나 면역에 도움이 되는 것으로 입증돼 일반적으로 부작용이 크지 않다는 특성을 고려하면 다양한 정신과적 질병에서 응용할 여지가 많습니다. 일상생활에서 가벼운 우울이나 불안감을 느낄 경우, 또 기존 정신건강의학과 치료환자에서 정신과 약제 보조치료제로 투입해 환자의 삶의 질을 높일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됩니다.RitaE, 출처 Pixabay자료출처: 메디게이트뉴스, 코로나19 팬데믹으로 우울·불안시대 주목받는 사이코바이오틱스, 2022년 1월 27일